한국의 IMF 외환위기는 1997년 말부터 시작된 경제위기이다.
당시는 IMF(국제통화기금)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으면서 겪은 구조조정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국가에 큰 위기였다.
그러다가 최근 환율 상승으로 또 다시 큰 위기를 맞이하게 됐다.
제2의 IMF(외환위기)가 다가오고 있다는 우려가 많다.
지난 IMF 기간 동안의 환율과 환율을 비교하여 알아보겠습니다.
1. IMF 당시 환율 상승
1997년 1월 초 850원 정도였던 환율은 1997년 11월 말 1,100원 정도가 됐다.
그래프를 보시면 이런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1997년 11월부터 한 달 만에 1,100원이던 환율은 무려 1,962원까지 올랐고, 1998년 초에는 2,000원대를 넘기도 했다.
그러던 중 11월 김영삼 대통령이 대국민 연설을 했다.
이때부터 환율이 급등해 본격적인 외환위기에 돌입했다.
2. 기업간 연쇄 도산
1997년 초부터 일련의 기업 부도가 이어졌다.
대기업이 잇따라 도산하면서 하청업체를 비롯한 관련 중소기업의 부도도 잇따랐다.
뉴스를 켜면 파산 소식을 듣자 사람들의 불안은 커졌고, 실업자도 크게 늘어났다.
과거에는 30년도 채 되지 않았습니다.
외환위기 당시 한국의 비참한 상황이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한국의 환율과 경제 상황은 어떨까요? 3. 한국의 현재 환율 및 경제상황
최근 10년간 원/달러 환율 그래프 (2024년 12월 28일 기준)
2024년 12월 28일 현재 원/달러 환율은 1,450원~1,486원입니다.
현재 환율 수치는 1997년 IMF 외환위기,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다.
* 정치적 불안: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 경제·금융시장 불안 심화 * 글로벌 경제여건 : 미국 금리 인상 및 달러화 강세에 힘입어 약세 지속.
4. IMF 시기와 현재의 경제상황 비교
현재 상황과 IMF 당시 상황을 비교하기는 다소 어렵지만, 현재 환율은 1,460원대로 1997년, 2008년 외환위기 이후 세 번째로 높은 수준으로, 국민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
전반적인 경제. 특히 수입물가와 소비자물가가 상승하고 있다.
상승 영향이 예상되는 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정책에 대응하고 환율 안정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경제위기 속에서도 정치권은 탄핵안과 불안한 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더욱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경제위기에 직면하지 않도록 항상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하루빨리 경제계와 정치계가 안정을 취하고 글로벌 경기침체를 함께 극복하는 모습을 보여주길 바랍니다.
그러기를 바랍니다.